Surprise Me!

[단독] 판문점 귀순 당시 군단장·사단장 있었는데 대응 늦었다? / YTN

2017-11-24 3 Dailymotion

지난 13일, 판문점 귀순 당시 1군단장과 사단장 등 JSA 주변 부대의 지휘관과 참모들이 JSA 대대에 있었던 사실이 YTN 취재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JSA 주변 최전방 지역을 맡는 최고위급 지휘관들이 모두 현장에 있었는데도 우리 군의 대응이 늦었던 이유는 뭘까요?<br /><br />강정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13일 오후 3시 15분, 북한군 추격조가 남쪽으로 내달리는 귀순자를 향해 무차별 사격을 시작합니다.<br /><br />AK 소총과 권총 등으로 40발 넘게 쐈고, 그중 1명은 군사분계선까지 넘었습니다.<br /><br />그로부터 2분 뒤인 3시 17분, 김일성 친필 비석 주변에는 중화기로 무장한 북한군 10여 명이 집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우리 군은 3시 31분이 돼서야 열 감시장비 TOD를 통해 귀순자를 발견했습니다.<br /><br />일촉즉발 상황이 전개되고 있었지만, JSA 대대의 전투배치는 그 이후에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[서욱 / 합참 작전본부장 : (귀순자가) 낙엽 사이에 들어가 있어서 처음엔 식별 잘 안 됐다가 TOD 화면을 보고 식별한 다음에 JSA 대대는 즉각 전투 배치를 하고…]<br /><br />같은 시각, 판문점에서 수 km 떨어진 JSA 대대에는 주변 지역 지휘관과 참모 대부분이 모여 전술토의를 하고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안영호 1군단장과 박정환 1사단장을 비롯해 귀순자 구조 엄호에 나섰던 권영환 JSA 경비 대대장도 이 회의에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귀순 상황 발생 직후 회의는 중단됐고, 1군단장과 1사단장은 대대 상황실로 내려가 미군 JSA 대대장이 지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뒤, 곧장 부대로 복귀했습니다.<br /><br />[채드 G 캐롤 / 유엔군사령부 공보실장 : 한국군 JSA 경비대대장 인솔하에 부사관 2명이 부상 당한 귀순자를 후송하고, 동시에 미군 측 대대장은 전체 작전 상황을 지휘하고 있었습니다.]<br /><br />합동참모본부에 최초로 상황이 보고된 시점은 북한군의 총격 이후 18분이나 지난 오후 3시 33분.<br /><br />우리 측 JSA 대대장이 수 km를 이동해 현장 구조 작전에 나서기까지 판문점에서는 어떤 조치가 있었는지.<br /><br />특히 1군단장 등 주요 지휘관들이 귀순 당시 JSA 대대에 모여 있었는데도 왜 보고와 초동 대응이 늦어졌는지는 앞으로 규명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12422184392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